1. 영업 vs 재무
- 영업활동: 기업의 주요 수익창출 활동, 투자활동이나 재무활동이 아닌 기타의 활동
- 재무활동: 기업의 납입자본 & 차입금의 크기 및 구성내용에 변동을 가져오는 활동
→ 직접적으로 수익획득을 목적으로 하지 않음. 자산의 운용을 위해 필요한 자금 조달 및 상환을 위한 활동
→ ex) 부채/자본계정의 변동을 수반하는 거래로 구성됨
→ 이자 지급과 배당금 지급은: 현금의 차입&자본금 조달과 관련하여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거래. 이경우 논리적으로는 재무활동으로 분류하는 게 맞으나, 당기순이익&영업활동 현금흐름과 직접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매 기간 일관성 있게 영업활동 현급흐름 / 재무활동 현금흐름으로 분류하도록 요구함
2. 고정영업비용 vs 고정재무비용
- 고정영업비용(fixed operating expense)
: '매출원가나 판매 및 일반 관리비'에서의 고정요소
기업의 매출액 수준과 관계없이 발생하는(=고정) 영업비용
ex) 대규모로 최신시설을 도입 설치 / 최고의 기술자나 경영진을 확보 / 감가상각비 / 임대료 / 경영진의 보수
*감가상각(depreciation)?
- 감소되는 가격(가치)만큼 회계에서 빼냄
토지를 제외한 고정 자산에 생기는 가치의 소모를 셈하는 회계상의 절차. 고정 자산 가치의 소모를 각 회계 연도에 할당하여 그 자산의 가격을 줄여 간다
즉, 구매한 상품의 가치는 계속 유지되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감소하는데 (소모품처럼), 가치의 감소를 회계에 반영함
- 감가상각의 3요소: 취득원가, 내용연수(자산을 이용할 수 있는 기간), 잔존가치(내용연수 종료 후 남은 가치)
- 감가상각 계산법: 정액법 & 정률법
자산의 가치가 떨어진다! 감가상각이란?
감가상각. 개념을 모르는 상태에서는 무슨 뜻인지, 어떤 분야의 용어인지조차 짐작하기 어렵습니다. 사자성어 같아 보이기도 하죠. 그러나 이 단어는 경제 용어입니다. 사전을 검색하면 ‘토지
blog.ibk.co.kr
- 고정재무비용
: '재무비용' 중 고정적인 비용
부채나 우선주처럼 타인 자본을 많이 사용하면 고정재무비용은 증가
영업이익이 발생하면 거기서 고정재무비용을 지불해야 함
ex) 이자지급, 우선주배당, 장기임차계약(long-term lease contract)에 의한 임차료 또는 지대
3. 영업레버리지 vs 재무레버리지
- 영업레버리지
: 영업고정비를 보유함으로써 고정영업비용을 부담하는 것.
영업이익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고정영업비용(ex.감가상각비 / 임대료 / 경영진의 보수)이 발생함
기업이 영업활동시 발생하는 영업비용을 고정비와 변동비로 분류했을 때, 영업비용 내의 고정비 부담 정도
생산이나 판매등에 소요되는 비용인 영업비용 중 고정비의 비중이 클 수록 영업 레버리지도 커짐
고정영업비가 지렛대(lever) 역할을 해 매출액이 증가할 때 영업이익의 증가폭이 확대되고 매출액이 감소할 때 영업이익의 감소폭이 확대됨
영업레버리지 효과
: 영업레버리지가 높은 경우 매출액이 변할 때 영업이익은 매출액이 변하는 비율보다 더 큰 비율로 변함
→ 매출액의 변화가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고정영업비용의 역할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는 것
- 영업레버리지도(DOL, Degree of Operating Leverage)
매출액의 변화율에 대한 영업이익의 변화율을 나타낸 것으로 영업레버리지 효과를 측정할 수 있음
영업이익 변화율 / 매출액 변화율
(매출액 - 변동비) / (매출액 - 변동비 - 고정비)
- 재무레버리지
: 기업이 자본조달을 위해 타인자본을 사용할 때 수반되는 이자비용등의 재무고정비인 이자비용의 부담 정도
- 재무레버리지의 효과
주주에게 귀속되는 이익은 타인자본 사용에 따른 이자부담으로 인해 영업이익의 변화율과 동일한 비율이 아닌 확대되어 변함
이때, 재무레버리지에 의해서 영업이익의 변화율보다 주당순이익의 변화율이 더 커지게 됨
- 재무레버리지도(DFL, Degree of Financial Leverage)
영업이익의 변화율에 대한 주당순이익의 변화율
주당순이익 변화율 / 영업이익 변화율
영업이익 / (영업이익 - 이자비용)
(매출액 - 변동비 - 고정비) / (매출액 - 변동비 - 고정비 - 이자비용)
*영업이익: 매출액 - 원가. 회사에게 돌아오는 이익
*당기 순이익: 영업이익에서 영업외수익/비용(ex.이자수익, 배당금수익, ..)/법인세비용을 뺀 것
주주들에게 당기 순이익이 돌아감
*주당 순이익(EPS): 기업이 벋어들인 순수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한 주당 창출해낸 이익
EPS가 높을수록 주식 투자 가치가 높은 편.
refer to
https://ko.wikipedia.org/wiki/%EB%A0%88%EB%B2%84%EB%A6%AC%EC%A7%80
레버리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버리지(leverage)는 타인의 자본을 지렛대처럼 이용하여 자기 자본의 이익률을 높이는 것이다. 고정비용이 있을 때 매출액의 변화가 기업의 손익에 미치는 영
ko.wikipedia.org
https://blog.naver.com/barun37/223051679984
재무제표 보는법 (매출액/영업이익/당기순이익/주당순이익/EPS)
저번에 제가 기업분석을 어디서 보는지에 대해서 포스팅한 적이 있었는데요. 오늘은 기업 분석에서 정말 중...
blog.naver.com
자산의 가치가 떨어진다! 감가상각이란?
감가상각. 개념을 모르는 상태에서는 무슨 뜻인지, 어떤 분야의 용어인지조차 짐작하기 어렵습니다. 사자성어 같아 보이기도 하죠. 그러나 이 단어는 경제 용어입니다. 사전을 검색하면 ‘토지
blog.ibk.co.kr
https://blog.naver.com/ahnmoon/222114543897
알기 쉽게 설명하는 영업레버리지
지난번 재무레버리지에 이어 오늘은 영업레버리지(operating leverage)에 대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회사 ...
blog.naver.com
'Finance >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ance] EV/EBITDA (3) | 2024.02.07 |
---|---|
[Finance] 금융 용어 2 (2) | 2024.02.06 |
[Finance] 금융 vs 재무 (0) | 2024.02.03 |
[Finance] 채권의 가격 계산 (2) | 2024.02.02 |
[Finance] 채권 (액면가/현재가격/표면금리/만기수익률) (0) | 2024.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