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 동치 A ⇔ B는 B가 참이면 A는 참이고, B가 거짓이면 A도 거짓이다
x + 5 = y + 2 ⇔ x + 3 = y
전칭 기호 ∀ xP(x)는 P(x)는 모든 x에 대하여 참이다를 의미한다.
∀ n ∈ ℕ: n2 ≥ n.
존재한다 ∃ xP(x)는 P(x)가 참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x 가 존재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 n ∈ ℕ: n은 짝수이다.
∃! 유일하다 ∃! xP(x)는 P(x)가 참이기 위해서는 오로지 하나의 x만 존재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 n ∈ ℕ: n + 5 = 2n.
또는 A ∨ B라는 명제는 A 또는 B가 참이라면 참이 된다. 양쪽 모두가 거짓이라면 명제는 거짓이 된다. 함수 A(x)와 B(x)에 관하여 A(x) ∨ B(x)는 max(A(x), B(x))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n이 자연수일 때, n ≥ 4  ∨  n ≤ 2  ⇔ n ≠ 3이다.
그리고 명제 A ∧ B는 A와 B가 모두 참일 때 참이 된다. 다른 경우에는 거짓이 된다. 함수 A(x)와 B(x)에 관하여 A(x) ∧ B(x) min(A(x), B(x))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n이 자연수일 때, n < 4  ∧ n > 2 ⇔ n = 3이다
: 그러한 (such that);
...하기 위해서(so that)
:는 "그러한 (such that)" 또는 "...하기 위해서(so that)"를 의미하며, 증명이나 조건제시법에서 쓰인다.
∃ n ∈ ℕ: n는 홀수이다.
곱집합  
함수의 기울기 / 발산 / 델 / 나블라  
Δ  미분, 도함수  
편미분  
텐서곱  
     
     
     
     

어려운 기호 발견할 때마다 업데이트할 예정 !! 😍

 

 

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D%95%99_%EA%B8%B0%ED%98%B8

 

수학 기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학 기호(數學記號)는 수학에서 쓰는 기호이며 수, 계산, 논리 등 수학의 개념을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 흔히 사용하는 기호로 사칙연산의 + (더하

ko.wikipedia.org

 

728x90

'AI > Data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U 서버 접속  (0) 2023.07.08
[ML] cs4780 / Curse of Dimensionality, 차원의 저주  (0) 2023.07.01
[머신러닝] 앙상블  (0) 2023.06.07
[선형대수학] Norm, 행렬곱, 내적  (0) 2023.05.30
SVM  (0) 2023.05.16

+ Recent posts